/* 1부터 5까지 while문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예제*/
int i=1;
while(i<=5) {
System.out.print(i+ " ");
i+=1;
}
// while문과 continue를 이용하여 1~10 사이의 짝수 출력 예제
//방법1
int i=1, num=10;
while (i<=num) {
if(i%2==0) {
System.out.print(i+ " ");
i+=1;
}else if(i%2!=0) {
i+=1;
continue;
}
}
//**While문은 for와 다르게 초기화가 없기때문에, 변수값을 새 코드만들때마다 넣어줘야 함(변수선언X).
//방법2
i=1;
while(i<=num){
if(i%2!=0) {
i+=1;
continue;
}
System.out.print(i + " ");
i+=1; //값을 올리지않으면 같은 i값에서 무한반복이 됨.
}
//방법3
i=1;
while(i++<=num) { //++을 써서 자동으로 값을 올렸음.
if(i%2==0) {
System.out.print(i + " ");
}else {
continue;
}
}
배열 개념 및 배열 선언
[ ] = 배열, 배열의 주소(위치)
★배열의 주소 [ ] 괄호 안의 주소 시작번호는 0번부터 1개로 인식
([1]까지 있다면 주소가 2개([0],[1])있음을 알수있다)
int [] arr1; //변수타입 [배열] 배열이름;
int arr3[] = new int[5]; // int타입을 가진 []arr3에 공간5개 만들기
int arr4[] = {1,2,3,4}; // int타입을 가진 []arr4에 주소는 모르지만 값 1,2,3,4가 있음.
int arr5[] = new int[] {1,2,3,4};
int arr2[]; //변수타입 배열이름 [배열]
int []arr6 = new int [5]; // int타입을 가진 배열arr6에 공간5개 만들기
int []arr7 = {1,2,3,4};
int []arr8 = new int[] {1,2,3,4};
int []arr9, arr10; //배열arr9, 배열arr10
int arr11[], arr12; //배열 arr11, 변수arr12
//배열 arry6의 첫번째 값 콘솔 출력
System.out.println(arr6[0]);
//배열arr6의 두번째에 10을 저장
arr6[1] = 10;
//배열 arr6의 두번째 값 콘솔 출력
System.out.println(arr6[1]);
5개짜리 정수 배열에 1부터 5까지 차례대로 저장 후 출력
// 5개짜리 정수배열 생성
int arr1[]=new int[5], i;
// 반복문으로 정수를 +1씩 올리면서 저장 + 반복마다 저장값 출력
for(i=0; i<5; i+=1) {
arr1[i]=i+1;
System.out.print(arr1[i] + " ");
}
/정수 num의 약수를 배열에 저장한 후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하세요.
//num라는 정수 변수선언 + 배열10개짜리 생성
int arr[]=new int[10], i, cnt=0, num=20; //num 테스트용 수 입력
//num의 약수를 구하는 코드 작성 -> 약수를 배열에 저장 -> 약수의 갯수를
for(i=1; i<=num; i+=1) {
if(num%i==0) {
arr[cnt]=i;
cnt+=1;
if(cnt==10) {
break;
}
}
}
for(i=0; i<cnt; i+=1) { //for1끝나고 코드 읽도록 for2처럼 밑에 써주고 출력
System.out.print(arr[i] + " ");
}